항목 ID | GC08300565 |
---|---|
한자 | 屠日-戰鬪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 |
집필자 | 이용철 |
발생|시작 시기/일시 | 1908년 9월 3일![]() |
---|---|
발생|시작 장소 | 와석리 협곡 -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
![]() |
종결 장소 | 와석리 협곡 -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 |
성격 | 사건·사고|사회운동 |
관련 인물/단체 | 김상태 |
1907년 9월 3일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와석리에서 이강년 의병진의 중군장 김상태가 일본군을 격퇴한 전투.
도일바위전투는 1907년 9월 3일 강원도 영월군 하동면[현 김삿갓면] 와석리 협곡에서 발생하였다. 와석리에 주둔 중이던 이강년(李康秊)[1858~1908] 의병진(義兵陣)의 중군장 김상태(金尙台)[1864~1911]는 500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와석리 협곡에서 일본군을 습격하여 승리하였다. 이후 이 전투가 벌어진 바위를 두고 왜병을 무찌른 바위라 하여 무찌를 ‘도(屠)’와 날 ‘일(日)’을 써서 ‘도일바위(屠日바위)’라 부르게 되었다.
도일바위전투가 있던 1907년, 일제는 헤이그특사파견을 빌미로 고종(高宗)[1852~1919]을 강제 퇴위시켰고, 이와 함께 대한제국 군대 역시 강제로 해산시켰다. 이는 한국인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특히 해산 군인은 의병에 참여하여 일제에 항쟁하였다.
1907년 9월 2일, 보병 50명으로 이루어진 일본군 1개 중대는 의병을 탄압하고자 영월군 하동면[현 김삿갓면] 주문리에 주둔하였다. 일본군의 주둔 소식을 접한 김상태는 의병 500명과 함께 와석리 협곡에서 매복하고 있다가 하루 뒤인 9월 3일 벌어진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도일바위전투에서 패배한 일본군은 주문리로 물러났으며, 패배에 대한 보복으로 서당 훈장 김인여(金仁汝)의 오른쪽 귀를 도려내고 오른팔을 잘랐다. 그리고 주민 네 명을 죽였다. 한편 도일바위전투가 벌어진 장소를 두고 사람들은 왜병을 무찌른 바위라 하여 도일바위라고 불렀다.
영월군은 호좌의진(湖左義陣)의 중심지였던 충청북도 제천과 인접하여 있었고, 김상태 같은 용맹한 의병장들이 등장하여 활약한 곳이었다. 도일바위전투는 영월 지역의 의병 항쟁을 잘 보여 주는 사례로서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