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0247 |
---|---|
한자 | 蓮下瀑布 |
이칭/별칭 | 계사폭포 |
분야 | 지리/자연 지리 |
유형 | 지명/자연 지명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윤석 |
해당 지역 소재지 | 연하폭포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
![]() |
---|---|
성격 | 폭포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에 있는 폭포.
연하폭포(蓮下瀑布)는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연하리(蓮下里) 연하계곡에 있는 폭포이다. 연하폭포로 올라가는 연하계곡의 입구에는 ‘대한민국 천하 명당 십승지(十勝地)’라고 새겨 놓은 비석이 있다. 십승지는 『정감록(鄭鑑錄)』에서 말한 흉년, 전염병, 전쟁이 들어올 수 없는 명당인데, 대체로 외부와의 연결 통로가 적고 산이 사방을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연하계곡은 특히 맑은 물과 바위가 잘 어우러져 아름다운 곳이다.
연하계곡에 있는 용소폭포와 연하폭포가 유명하다. 용이 승천하였다는 용소폭포는 폭이 좁고 높은 반면, 연하폭포는 폭이 넓다. 연하폭포 위쪽으로는 상당히 큰 규모의 마을이 있다.
연하폭포는 연하리라는 지명에서 유래하였다. 연하리의 원래 이름은 연지동(蓮池洞)이다. 연지동을 연하리로 고치고, 외손도우(外遜道隅)라는 지명은 연상리(蓮上里)로 바꾼 것이다. 또 1960년까지 연상리와 연하리 모두 상동면에 속하였으나 1960년 상동면이 상동읍으로 승격되면서 연하리는 영월읍에, 연상리는 상동읍에 편입되었다. 후에 영월군에 산솔면을 새로 만들면서 연상리는 산솔면에 속하게 되었다.
연하리는 석항천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고, 북쪽으로는 완택산과 고고산이 있으며, 남쪽으로는 계족산과 응봉산 그리고 석봉산 등 1,000m 정도의 높은 산이 둘러싸고 있는 지역이다. 연하계곡은 계사천이 석항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계곡인데, 곳곳에 폭포와 못이 있다. 연하계곡은 연하폭포골이라고도 한다.
국도 제38호선이 자동차 전용도로가 되면서, 구(舊) 국도는 ‘영월로’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이 영월로에서 연하계곡으로 들어갈 수 있다. 연하계곡 입구에서 약 1.5㎞를 올라가면 연하폭포에 닿을 수 있다. 연하계곡은 크지는 않지만 계곡으로 흐르는 맑은 물과 숲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계곡이다. 용소, 용소폭포, 연하폭포 등이 연하계곡의 운치를 더한다.
연하계곡의 끝자락에 있는 계사동(溪沙洞)에 꽤 넓은 터가 있어서 오래전부터 마을이 있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계사동이라는 지명에서 연하계곡의 도로명이 계사동길이 되었고, 계곡을 흐르는 하천의 이름도 계사천이라고 붙였다. 연하계곡 바로 옆 산솔면 연상리에는 망경대산자연휴양림이 있다. 망경대산이나 응봉산 등 1,000m가 넘는 높은 산과 함께 계곡의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