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0351 |
---|---|
영어공식명칭 | Golmacha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북면 마차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엄흥용 |
강원도 영월군 북면 마차리에 있는 자연마을.
영월군 북면 마차리 문곡삼거리에서 지방도 제413호선이 급커브로 굽어지는 모랭이거리 윗쪽에 있는 자연마을이다. 마차리의 지형이 유리병 모양이라면 골마차는 병(甁)의 입구인 좁은 골짜기이고 벌마차는 넓은 부분에 해당한다. 골마차에는 도로 옆 마차교 근처에 1839년에 세워진 영월부사 윤사은(尹師殷)의 애민청덕선정비[부사 윤공사은 애민청덕선정비]와 1884년에 세워진 부사 정원화(鄭元和)의 부사 정공원화 청덕만세불망비가 있다. 골마차에서 좌측으로 가면 도장골이 있다. 골마차에서 솔치초등학교가 있었던 윗솔치로 넘어가는 고개는 산봉우리가 칼날처럼 생겨 칼치재라 부르고 있다.
벌마차 입구인 지방도 제413호선과 접하여 있는 좁고 긴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므로 골마차라고 불렀다.
북면 마차리에 영월광업소가 개광되어 전국 제1의 탄전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골마차의 경기도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1972년 9월 30일 석탄 합리화 사업으로 폐광이 시작되면서 골마차의 인구도 100여 가구에서 2021년 현재 30여 가구로 줄었다.
골마차의 위치는 동경 128도 47′ 북위 37도 24′이고, 지질구조는 오도비스기의 대석회암층을 바탕으로 석탄기의 만항층, 금천층 및 페름기의 장성층이 분포되어 있다. 다른 곳과 달리 시대를 알 수 없는 삼방산층이 석회암층 상위에 부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지질구조상 두 가지 특징 중 하나가 광구 전반에 걸쳐 있는 남북 방향의 마차리단층이다. 마차리단층에 의하여 함탄층인 장성층 상위에 대석회암 지층이 층상으로 접합하고 있다.
골마차는 영월광업소가 활성화되면서 광산 노동자들로 북적거렸다. 그러나 마차리의 광산이 폐광되면서 광업소 종사자와 가족들이 모두 떠났다. 영월군에서는 마차리에 1960년대 탄광촌의 생활상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강원도탄광문화촌을 개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