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1162 |
---|---|
한자 | 寧越初等敎育博物館 |
영어공식명칭 | Yeongwol Elementary Education Museum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북면 밤재로 7[문곡리 340-1]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승은 |
개관|개장 시기/일시 | 2001년![]() |
---|---|
이전 시기/일시 | 2012년 - 영월초등교육박물관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446-5에서 강원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 340-1로 이전 개관 |
개칭 시기/일시 | 2012년 - 웅진초등교육박물관에서 영월초등교육박물관으로 개칭 |
최초 설립지 | 웅진초등교육박물관 -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무성산로 296[내산리 446-5] |
주소 변경 이력 | 영월초등교육박물관 - 강원도 영월군 북면 밤재로 7[문곡리 340-1] |
현 소재지 | 영월초등교육박물관 -
강원도 영월군 북면 밤재로 7[문곡리 340-1]![]() |
성격 | 박물관 |
전화 | 033-375-1223 |
강원도 영월군 북면 문곡리에 있는 초등교육 관련 자료를 수집, 전시한 사립 교육박물관.
영월초등교육박물관(寧越初等敎育博物館)은 초등교육의 변천사를 한눈에 알 수 있는 전국에서 유일한 초등교육 전문박물관이다. 조선 시대부터 현재까지 발행된 교과서는 물론 각종 교육 관련 자료를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전시함으로써 자라나는 아이들과 청소년들에게 인성교육과 체험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영월초등교육박물관은 초등교육의 과거를 통하여 미래의 교육을 함께 살펴보고 교육 문화 창달에 기여하기 위하여 건립하였다.
영월초등교육박물관은 2001년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446-5에서 웅진교육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2012년 웅진초등교육박물관에서 영월초등교육박물관으로 명칭을 변경하고 2012년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내산리 446-5에서 영월군 북면 문곡리 340-1의 폐교된 마차초등학교 문곡분교로 이전하여 새로이 개관하였다.
전시 구성은 상설 전시와 특별 전시로 나누어지며, 상설 전시는 조선 시대[1392~1894]부터 개화기[1894~1910], 일제 강점기[1910~1945], 광복 후 미군정기[1945~1948], 교수요목기[1948~1954], 교육과정기[1954~현재]에 이르기까지 시기별 교과서 및 교보재(敎補材) 등 교육 관련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전시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소년』, 『붉은 저고리』 등 어린이 잡지와 만화류, 30~40년 전 사용하던 책걸상과 문구류 등을 전시하고 있어 아동 및 청소년에게는 과거 교육의 한 면을 체험할 수 있게 하고 어른들에게는 지나간 추억을 떠올릴 수 있게 한다.
영월초등교육박물관의 개관 시간은 하절기[4월~9월]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동절기[10월~3월]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다. 매주 월요일[동절기는 월요일·화요일]과 1월 1일, 설·추석 연휴에는 휴관한다. 소정의 관람료가 성인, 초중고생, 유치원생에게 달리 적용되며 단체는 할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