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1308 |
---|---|
한자 | - 漁夫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설화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광전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대형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2004년 8월 25일 - 「착한 어부 이야기」 이복만에게 채록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05년 1월 10일 - 「착한 어부 이야기」 『강원의 설화』 2권에 수록 |
채록지 | 배일치 - 강원도 영월군 한반도면 광전리 |
주요 등장 인물 | 어부|용왕 아들 |
[정의]
강원도 영월군에서 착한 어부와 관련하여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착한 어부 이야기」는 가난하게 살던 착한 사람이 잉어를 살려 주어 부자가 되었다가 다시 가난하여졌다는 이야기이다. 제목에 ‘어부’라는 표현이 있지만, 주인공이 실제 어부는 아니고 다만 바닷가에서 잉어를 살려 주었다는 상황 때문에 어부라는 제목이 붙었다. 그러나 이는 채록된 이야기를 기준으로 판단한 것이고, 이야기를 구연할 때 어부라는 표현이 변개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채록/수집 상황]
「착한 어부 이야기」는 2005년 간행한 『강원의 설화』 2권에 수록되어 있다. 2004년 8월 25일 강원도 영월군 서면[현 한반도면] 광전리 배일치에서 이복만[남, 68세]에게 채록하였다.
[내용]
「착한 어부 이야기」는 가난한 사람이 동물에게 은혜를 베풀어 보물을 얻고 부자가 되었다가 아내가 보물을 깨트려 다시 가난하여졌다는 이야기이다.
한 사람이 나무를 주으러 바닷가에 갔다가 그물에 걸린 잉어를 보고는 살려 주었다. 사실 남자가 놓아준 잉어는 용왕의 아들이었다. 용왕의 아들은 은혜에 보답하기 위하여 남자를 용궁으로 데려갔다. 남자는 용궁에서 3일 동안 대접을 받고 돌아오게 되었는데, 잉어의 조언에 따라 ‘개우’[구연자는 황새처럼 크고 두루미처럼 생긴 새라고 하나 정확히는 무슨 새인지는 알 수 없음]를 달라고 하여서 가지고 나왔다. 밖에 나와 보니 개우는 밤톨만 한 보석으로 변하였다.
남자가 그걸 가지고 걸어가다 보니 고목나무 위에서 까마귀가 울고 있었다. 그래서 보물을 내밀며 까마귀한테 왜 우느냐고 물었다. 그러자 까마귀가 고목나무 앞집에 초상이 났는데, 사람을 살릴 수 있는데도 사람들이 그 사실을 모른다고 하였다. 어떻게 살릴 수 있는지 까마귀에게 물으니, 고목에다 왕겨를 몇 가마니 갖다 놓고 불을 피우면 큰 지네가 나올 텐데, 그 지네의 조화로 사람이 죽었으니 지네를 기름 가마에 넣어 볶아 버리면 사람이 살아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남자는 초상이 난 집에 가서 그 이야기를 하고 죽은 사람을 다시 살렸다. 초상 난 집은 부잣집이라서 많은 돈으로 보답을 하였다. 그렇지만 남자는 보물만 있으면 된다고 생각하여 돈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모두 나누어 주었다. 집에 돌아와서 보니, 용궁에서의 3일은 바깥세상에서는 3년이라는 시간이 흐른 것이었다. 그동안 사라졌던 남편이 돌아왔다고 아내는 부엌으로 가서 음식을 만드는데, 귀뚜라미가 울어 댔다. 그래서 남자가 보물을 들이대고 귀뚜라미한테 왜 우느냐고 하니, 귀뚜라미가 하는 말이 아내가 그동안 바람을 피웠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내를 불러 보물을 앞에 두고 귀뚜라미가 하는 말을 듣게 하니, 아내가 깜짝 놀라며 보물을 땅에 팽개쳐 버렸다. 그렇게 보물이 깨어지니 그 사람은 도로 가난하여지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착한 어부 이야기」의 교훈은 선한 일을 하여서 부자가 되었지만 그 역시 자신이 노력하여서 얻은 게 아니기 때문에 한순간에 사라져 버렸다는 의미로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