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1317 |
---|---|
한자 | 寧越- |
영어공식명칭 | Yeongwol-arari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신성환 |
채록 시기/일시 | 1983년 5월 14일 - 「영월아라리(2)」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에서 제보자 최옥자로부터 채록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86년 - 「영월아라리(2)」 채록 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 2-9권 출간 |
채록지 | 하송5리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 |
가창권역 | 영월군 - 강원도 영월군 |
성격 | 유희요 |
기능 구분 | 가창유희요 |
가창자/시연자 | 최옥자 |
강원도 영월군 일대에서 전승되어 온 가창유희요.
「영월아라리(2)」는 강원도 영월군에서 전승되는 「아라리」의 일종이다. 「아라리」는 강원도 지역에서 불리는 대표적인 가창유희요인데, 「아리랑」의 원천이 되는 노래로 알려져 있다. 「아라리」는 전국적으로 존재하지만, 특히 태백산맥을 축으로 뻗어나간 지맥을 중심으로 주요 분포지가 존재한다.
「영월아라리(2)」는 1986년 간행된 『한국구비문학대계』 2-9권에 수록되어 있다. 1983년 5월 14일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하송5리에서 제보자 최옥자[여, 당시 53세]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채록 당시, 최옥자는 “영월아라리”라는 같은 이름을 가진 노래를 세 곡 연이어 불렀다.
「영월아라리(2)」는 독창으로 불리며, 후렴구인 “어랑 어랑 어허야/ 요것도 몽땅 내 사랑아”를 기준으로 총 4절로 구성되어 있다.
「영월아라리(2)」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아침에 우는 새는/ 배가 고파서 울고요/ 어랑 어랑 어허야/ 요것도 몽땅 내 사랑아// 가는 새 오는 새/ 한이불 속에 누워진다/ 어랑 어랑 어허야/ 데헤야/ 요것도 몽땅 내 사랑아// 자동차 뒷차를 보자면/ 재간이 빨라야 보구요/ 남의 집 낭군을 보자면/ 눈치가 빨라야 봅니다/ 어랑 어랑 어허야/ 어허야 데헤야/ 요것도 몽땅 내 사랑아// 자동차 기차는 뚝 떠나면/ 철로 가지가 울고요/ 와다구지는 뚝 떠나가면/ 빙모님 따님이 우노라/ 어랑 어랑 어허야/ 어허야 데헤야/ 요것도 몽땅 내 사랑아.”
강원도 영월군 일대에는 「영월아라리(2)」를 비롯하여 “영월아라리”라는 제목으로 여러 편의 노래가 전승되고 있다.
「영월아라리(2)」를 비롯한 「아라리」는 지금껏 전하여 오는 민요 가운데에서도 노래의 용도가 가장 다양하다. 「영월아라리(2)」의 경우 우는 새, 가는 새와 오는 새, 자동차와 기차 등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소재로 노랫말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또한 ‘자동차’나 ‘철로’ 등이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근대 이후에 만들어져 전승된 노래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