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2011 |
---|---|
한자 | 金魚水公園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 808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승은 |
현 소재지 | 김어수공원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 808
![]() |
---|---|
성격 | 공원 |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영월군 출신 시인 김어수를 기념하기 위한 공원.
김어수공원(金魚水公園)은 강원도 영월군 산솔면 직동리에 있는 공원이다. 영담(影潭) 김어수(金魚水)[1909~1985]는 강원도 영월군 출신의 승려이자 시인이며, 본명은 김소석(金素石)이다. 1909년 1월 4일 상동면 직동리[지금은 산솔면 직동리]에서 출생하였고, 1922년 부산 범어사(梵魚寺)에서 출가하여 승려 생활을 하였다. 그러다 1930년 일본 교토 화원중학(花園中學)을 졸업하고, 1938년 중앙불교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 재학 시절 학회지 『룸비니』를 만들어 김달진(金達鎭)[1907~1989]·나운경(羅雲卿) 등과 함께 창작활동을 하였다. 1932년 『조선일보』에 시조 「조사(弔詞)」를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단하였으며, 현대적 감각을 살린 시조 형식으로 인생과 자연과 선(禪)의 세계를 파고들어 그 실체를 밝히는 데 주력하였다. 1930년대 잡지 『불교(佛敎)』에 많은 시편을 발표하였으며, 시집으로 『달 안개 피는 언덕길』[1975], 시조집 『회귀선의 꽃구름』[1976], 『햇살 쏟아지는 뜨락』[1978], 『이 짙은 향기를 어이하리』[1983], 『가로수 밑에 부서지는 햇살』 등이 있다. 한국현대시조시인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하였고, 1985년 1월 7일 세상을 떠났다. 영월군은 김어수 시인 탄생 100주년을 맞아 2011년 고향 직동리에 기념시비를 건립하고 문학 공원을 조성하였다.
김어수공원은 직동리 계곡과 캠핑장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다. 김어수의 기념비, 흉상, 시비 등이 세워져 공원을 찾는 사람들에게 문학적 흥취를 느낄 수 있게 한다. 특히 높이 5.5m, 폭 3.6m, 두께 1m, 시비 둘레 8.6m에 달하는 시비는 자연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는 국내 최대 크기이다. 2019년 11회를 맞은 ‘단풍산 계곡 영담 김어수 문화축제’는 매년 가을 영월군, 김어수선양회, 월간 『국보문학』 등의 후원으로 문학인들의 시 낭송과 음악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