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2075 |
---|---|
영어공식명칭 | Berigol |
이칭/별칭 | 별이실,별이곡(別梨谷)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진별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엄흥용 |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진별리에 있는 자연마을.
베리골은 ‘별이곡(別梨谷)’이라고도 하는대, 조선 후기의 학자 권섭(權燮)[1671~1759]은 기행가사인 『영삼별곡(寧三別曲)』에서 베리골의 풍경을 다음과 같이 읊었다.
“별이실 외딴 마을 해는 어이 쉬 넘거니, 봉당의 자리 보아 더 새고 가자스라, 밤중에는 사립밧기 긴 바람 니러나며, 삿기곰 큰 호랑이 목가라 우는 소리, 산골이 울혀이셔 기염도 흘난할샤, 칼 빼며 겻희노코 이 밤을 계유새와[중략].”
권섭은 숙종 때 인물로 호는 옥소(玉所), 백취옹(百趣翁)이고, 자는 조원(調元)이다. 『영삼별곡』에는 권섭이 1704년(숙종 30)에 영월 주천을 출발하여 동강의 금강정, 봉래산, 거운리 등 명승지를 둘러보고 베리골에서 일박한 내용이 실려 있다. 그리고 삼척으로 가는 여정을 감각적 이미지로 섬세하게 표현한 『영삼별곡』은 권섭의 문집인 『옥소고(玉所稿)』에 실려 있다. 권섭은 44세 때 충청북도 청풍으로 이사하여 살면서 진경산수화를 그리는 정선과 교류하였으며, 54세에 제천 문암동으로 이주하여 89세로 세상을 뜰 때까지 50여 권의 문집에 2,000여 수의 한시와 75수의 국문시조, 80여 점의 그림을 남겼다.
골짜기가 매우 깊고 벼리[베리, 병창] 밑에 있는 마을이므로 ‘별이실’에서 ‘벼리골’로 변하였다가 베리골이라 하였다.
베리골 왼쪽 8부 능선에 강원도 기념물로 지정된 영월 용담굴(龍潭窟)이 있다. 영월 용담굴은 고생대 석회암층에 형성된 길이 350m의 수직굴로 내부 온도는 계절에 관계없이 15~18℃가 된다. 4개의 큰 광장과 수십만 년 전에 생성된 석순과 종유석들이 있고, 30여 종의 생물이 살고 있다. 2021년 현재 일반인에게는 아직 개방되지 않았다.
베리골은 영월읍 정양리(正陽里)와 김삿갓면 진별리(津別里)의 경계인 각씨바위[모처녀바위]에서 영월 고씨굴로 가는 지방도 제88호선 좌측 골짜기에 있다.
베리골 사람들이 가장 먼저 터를 잡고 살던 곳을 ‘텃마을’이라 하는데, 지금도 텃마을 연못 주위로 10여 가구가 살고 있다. 베리골은 1970년대 화전 정리를 하기 전만 하여도 70여 가구가 살았던 큰 마을이었다. 그 당시 마을 회의나 대동놀이는 텃마을에서 이루어졌다. 2021년 현재 16가구의 주민들이 밭농사에 종사하며 살아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