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2167 |
---|---|
영어공식명칭 | Andonaedeul Banga-taryeong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도원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용건 |
채록 시기/일시 | 1994년 이전 - 「안도내들 방아타령」 채록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1년 - 「안도내들 방아타령」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 우수상 수상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4년 - 「안도내들 방아타령」 채록 문헌 『강원의 전통민속예술』 출간 |
가창권역 | 안도내 -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도원리
![]() |
성격 | 노동요 |
기능 구분 | 농업노동요 |
형식 구분 | 선후창 방식 |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도원리에서 전승되어 온 농업노동요.
「안도내들 방아타령」은 강원도 영월군 무릉도원면 도원리의 중심마을인 ‘안도내’에서 전승되어 온 농업노동요이다. 농사철에 마을 원로들을 중심으로 불려진 농요이며, 1991년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 출전하여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안도내마을은 섬안이[도내(島內)] 안쪽에 자리잡고 있다고 하여 ‘안섬안이’ 또는 ‘안도내’라고 부른다. 무릉도원면은 2016년 수주면에서 개칭한 명칭이다.
「안도내들 방아타령」은 1994년 강원도에서 간행된 『강원의 전통민속예술』에 「안도내들 방아타령」[고증: 김재복]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정확한 채록 시기를 밝히지 않아, 책이 출간된 1994년 이전에 채록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안도내들 방아타령」은 농사철에 불려진 농요로서, ‘모찌는 과장’, ‘논을 메는 과장’, ‘탈곡 과장’, ‘방아 찧는 과장’ 등 총 네 개의 과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래의 진행은 선소리와 후소리를 메기고 받는 선후창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안도내들 방아타령」의 시작 부분인 모찌기 과장은 선소리를 메기면 뒷소리 “어화 얼싸 모를 심세”로 받는 식으로 진행된다. 선소리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어화 얼싸 모를 심세/ 이 논빼미 모를 심어/ 장잎이 훨훨 영화로다/ 심어 줘요 심어만 줘요/ 스 마지기 논빼미가/ 반달만치 남았구나.”
논을 매는 과장은 선소리를 메기면 뒷소리 “위-이-여-응어-방-아-요”로 받는 식으로 진행된다. 선소리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위-이-여-응어-방-아-요/ 위- 높은 데는 밭이 되고/ 위- 낮은 데는 논이 되고/ 위- 오뉴월에 흘린 땀이/ 위- 구시월에 열매로다/ 위- 홍성나기 찬바람에/ 위- 울고 가는 저 기러기가/ 위- 임의 소식 전하거라.”
탈곡 과장은 선소리를 메기면 뒷소리 “어이나 털어”로 받는 식으로 진행된다. 선소리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어이나 털어/ 이리 털고/ 저리 털고/ 잘두 터네/ 에에 에이야/ 점심참이/ 늦어 가네/ 어서 털어/ 에에 에이야/ 구슬땀이/ 쌀이 되네/ 잘두 터네/ 에에 에이야.”
방아 찧는 과장은 선소리를 메기면 뒷소리가 따라 부르는 식으로 진행된다. 선소리의 노랫말은 다음과 같다. “닐리리 쿵더쿵 찧는 방아 언제나 다 찧고 밤마실 가나/ 형님 오네 형님 오네 당고개 분고개로 형님 오네/ 형님 마중 누가 가나 반달 같은 내가 가지/ 네가 무슨 반달이냐 초생달이 반달이지/ 야이야 시집살이 계집살이 어떻더냐/ 당초 고추 맵다 해도 시집살이 더 맵다오/ 백옥 같은 요내 손길 과지 빠리 다 되었소/ 삼단 같은 요내 머리 빗소리 춤이 다 되었오.”
영월군 무릉도원면 도원리 안도내는 두메산골에 자리 잡은 마을로서, 이곳에서 전승되는 「안도내들 방아타령」은 산업화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지 않은 농촌의 정겨운 생활상을 잘 보여 주는 노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