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302180 |
---|---|
한자 | 郡守 金玄錫 淸德碑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유적/비 |
지역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049-1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정용건 |
건립 시기/일시 | 1791년 이후 - 군수 김현석 청덕비 건립 추정 |
---|---|
현 소재지 | 군수 김현석 청덕비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049-1
![]() |
성격 | 비석 |
관련 인물 | 김현석 |
재질 | 석재 |
크기(높이, 너비, 두께) | 109㎝[높이]|48㎝[너비]|9㎝[두께] |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에 있는 조선 후기 영월군수 김현석을 기리는 비.
김현석(金玄錫)은 본관이 김녕, 자는 태초, 호는 여병재이다. 생원시를 거쳐 ‘통훈대부행거창현감겸진주진영병마절제도위’를 지냈다. 이후 거창현감·양지현감을 거쳐 영월군수에 부임하였다. 영월군수 재임 중에 아버지인 공조판서 김문기와 함께 단종 복위에 연루되어 순절하였다.
1791년(정조 15) 이조판서 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됨과 동시에 장릉 배식단에 배향되었다. 이후 영월군민들에 의하여 군수 김현석 청덕비(郡守金玄錫淸德碑)가 세워졌고 1824년 영월 유림에서 청덕비 비각을 세웠다. 그 후 1938년 현 위치에 오게 되었다.
군수 김현석 청덕비는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1049-1번지에 있다. 국도 제38호선이 통과하는 굴다리 밑에 신영숙 효자비와 나란히 있다.
군수 김현석 청덕비는 높이 109㎝, 너비 48㎝, 두께 9㎝이다. 비신은 주색을 칠하여 탁본이 어려운 상태이다. 또한 비각 안으로 직접 진입을 하지 못하여 실측이 어렵다. 용무늬의 이부와 귀부, 부대석과 2단으로 된 하대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수 김현석 청덕비 앞면에는 한자로 ‘군수김공현석청렴덕행비’라고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황명 경태 3년(1452) 9월 일 자헌대부 김현석공 신위’라고 새겨져 있다.
2013년 대종회와 후손들이 비각을 새로 만들고 뒤쪽에 영월군수 여병재 김공휘현석 현창비를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