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디지털영월문화대전

  • HOME
  • 이용안내
  • 만든사람들
  • 내가쓰는백과
  • 콘텐츠목차
  • 디렉토리분류
  • 콘텐츠색인
  • 전자지도
  • 전자연표
  • 시청각자료

디지털영월문화대전

  • 인기검색어
  • 장릉
  • 청령포
  • 김삿갓
  • 단종
  • 관풍헌

콘텐츠목차

  • 영월향토문화백과
    • 삶의 터전(지리)
      • 자연지리
        • 지형·지질
      • 인문지리
        • 행정구역
        • 교통
        • 관광
        • 자연마을
      • 동식물
        • 동물상
        • 식물상
    • 삶의 내력(역사)
      • 전통시대
        • 고대
        • 고려
        • 조선
      • 근현대
        • 근대
        • 현대
    • 삶의 자취(문화유산)
      • 유형유산
        • 유물
        • 유적
      • 무형유산
      • 기록유산
        • 문집·불경·읍지
        • 고지도·지리지
    • 삶의 주체(성씨·인물)
      • 성씨·세거지
      • 전통 시대 인물
        • 문무 관인
        • 문인·학자
        • 종교인
        • 효자·열녀
      • 근현대 인물
        • 의병·독립운동가
        • 관료·정치가·예술인
    • 삶의 틀(정치∙경제∙사회)
      • 정치·행정
        • 지방 자치·제도
        • 공공 기관
      • 경제·산업
        • 기업체
        • 경제 단체·기관
        • 시장·산업 시설
        • 특산물
      • 사회·복지
        • 사회·복지 시설
        • 보건 의료
      • 과학기술
    • 삶의 의미(종교)
      • 불교
      • 유교
      • 기독교
        • 천주교
        • 개신교
      • 신종교
    • 삶의 내용(문화·교육)
      • 문화·예술
        • 문화·예술 단체
        • 문화 시설
        • 지역 축제·행사
        • 문화·예술 작품
      • 체육
        • 체육 단체
        • 체육 시설
      • 교육
        • 교육 기관
        • 도서관·박물관
        • 지원 기관·시설
      • 언론∙출판
    • 삶의 방식(생활·민속)
      • 생활
        • 의생활
        • 식생활
        • 주생활
      • 민속
        • 평생 의례
        • 민간신앙
        • 세시풍속
        • 놀이
    • 삶의 이야기(구비전승·언어·문학)
      • 구비전승
        • 민요
        • 설화
      • 언어
      • 문학
        • 문학 작품
        • 문학 단체·문학 행사
  • 영월의 특별한 이야기

디지털영월문화대전 > 영월향토문화백과 > 삶의 내력(역사) > 전통시대 > 고려

  • 고려 시대 새 창으로 보기새 창으로 보기

    918년 고려가 개창한 이후 1392년 멸망할 때까지 강원도 영월 지역의 역사. 후삼국 시대 영월은 궁예(弓裔)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918년 왕건(王建)이 왕위를 찬탈하자, 강릉의 토호(土豪) 김순식(金順式)은 왕건에게 복속을 거부하였다. 그렇다면 영월 지역도 왕건의 영향에 들어가지는 않았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김순식이 왕건에게 복속하면서 영월 지역은 고려의 영역에 포함되...

  • 조운 새 창으로 보기새 창으로 보기

    대표시청각 이미지

    강원도 영월군에서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수운을 이용하여 곡물을 경창으로 운송하였던 제도. 고려 시대에는 전국에 13개소의 조창(漕倉)이 설치되어 운영되었고, 조선 전기에는 9개소 조창, 조선 후기에는 8개소 조창이 운영되었다. 조운 세곡은 당시 국가 재정의 가장 중추가 되는 재원이었으므로, 중앙정부에서는 안전한 운송을 위하여 다양한 제도와 법규를 만들었다. 조선 후기에 조세를...

내 검색어
    내가 본 목록
      사이드메뉴 열기 사이드메뉴 닫기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영월군청
      • 사이트 소개
      • 저작권 정책

      COPYRIGHT (C) 2022. 한국학중앙연구원. ALL RIGHTS RESERVED. 대표전화: 031-709-8111

      디지털영월문화대전

      전체메뉴

      • 콘텐츠 목차
        • 영월향토문화백과
        • 영월의 특별한 이야기
      • 디렉토리분류
        • 표제어
        • 분야
        • 유형
        • 시대
        • 지역
        • 집필자
        • 참고문헌
      • 콘텐츠색인
        • 인명
        • 지명/기관명
        • 서명/작품명
      • 전자지도
      • 전자연표
      • 시청각자료
        • 동영상
        •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