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면 북쌍리 삼거리 묫자리 이야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301302
한자 南面 北雙里 三- 墓-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강원도 영월군 남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대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2004년 9월 17일 - 「남면 북쌍리 삼거리 묫자리 이야기」 안효팔에게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2005년 1월 10일 - 「남면 북쌍리 삼거리 묫자리 이야기」 『강원의 설화』 2권에 「남면 북쌍리 삼거리 묘자리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수록
채록지 북쌍리 - 강원도 영월군 남면 북쌍리 지도보기
성격 설화
주요 등장 인물 유씨|부인|중
모티프 유형 선행에 따른 보상

[정의]

강원도 영월군 남면 북쌍리 삼거리 부근에 있는 묘에 얽혀 전하여 내려오는 이야기.

[개설]

「남면 북쌍리 삼거리 묫자리 이야기」는 영월군에서 전하는 또 다른 설화 「자선하여 당대 발복한 유씨」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장소에 얽힌 이야기이다. 다만 「남면 북쌍리 삼거리 묫자리 이야기」에는 상대적으로 이야기의 구체적인 내용이 빠져 있다.

[채록/수집 상황]

「남면 북쌍리 삼거리 묫자리 이야기」는 2005년 간행한 『강원의 설화』 2권에 수록되어 있다. 2004년 9월 17일 강원도 영월군 남면 북쌍리에서 안효팔[남, 77세]에게 채록하였다.

[내용]

영월군 남면 삼거리 부근에 유씨 집안 묘가 있다. 묘 앞에 어느 가난한 집이 있었는데, 너무 가난하여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도 장사를 지낼 수 없었다. 그래서 묘를 쓰는 대신 바깥에 토롱[가매장]을 할 수밖에 없었다.

하루는 이 가난한 집주인이 밭을 갈고 있는데, 어떤 중이 와서 밥을 먹고 가게 하여 달라고 청하였다. 집주인이 처음에는 “우리 집에는 아무것도 없소.”라고 하였으나, 생각하여 보니 식은 밥이 있었다. 그래서 식은 밥이라도 괜찮으면 먹고 가라고 하며 중을 집에 데리고 가, 있는 대로 차려 주었다.

중은 식사를 맛있게 한 후 소원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집주인은 “저는 그저 아무 소원도 없고 밥만 실컷 먹었으면 좋겠습니다.”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중은 묘 쓸 자리 두 자리를 알려 주면서, 하나는 정승, 판서가 날 자리이고 하나는 평생토록 의식 걱정을 하지 않을 자리라고 하였다. 집주인은 우선 먹고 입어야 하니, 평생 의식 걱정을 하지 않는다는 자리에 묘를 썼다고 한다. 그 자리에는 500년 뒤 철마[기차]가 지나갈 거라고 하였는데, 지금은 제천 나가는 도로가 생겼다고 한다.

[모티프 분석]

「남면 북쌍리 삼거리 묫자리 이야기」는 영월군에서 전하는 또 다른 설화 「자선하여 당대 발복한 유씨」와 유사하다. 두 설화 모두 ‘선행에 따른 보상’을 기본 모티프로 하고 있다. 단, 「자선하여 당대 발복한 유씨」에서는 굶주린 중에게 가난한 농부의 아내가 젖을 물려 준다는 점에서 성욕을 초월한 이타행을 보여 준다. 반면 「남면 북쌍리 삼거리 묫자리 이야기」는 식은 밥을 준다는 점에서 극적 효과가 반감된다는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